시련을 이겨내는 행복 - 행복의 중요성. 행복하기 위한 방법.
- 영상
- 2022. 6. 27.
행복은 삶의 목표나 결승지점이 아니다. 중간에 있는 휴게소이다.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이다.
근거? 도핑을 예로 들어보자.
도핑 테스트시 금지약물을 복용해서는 안된다.
왜일까? 금지약물 복용하면 훈련을 하지 않아도 근육이 생기고, 연습을 안해도 신체능력이 좋아지기 때문?
아니다.
금지약물의 신속하고도 강력한 효과는,
아주 많이 행복해진다는 것이다.
마음이 행복해진다. 이게 금지약물의 가장 중요한 효과다.
금지약물 복용으로 인위적으로 행복해진 선수는,
다른 선수들은 견디지 못하는 혹독한 훈련을 홀로 버텨낸다.
다른 선수들은 엄두를 못내는 그 어려운 연습을 도전한다.
그래서 아주 짧은 시간에 놀라운 수준의 신체 능력을 가지게 된다.
약물이 그자체로 근육 강화제가 아니라
행복해진 마음으로 고통스러운 훈련을 견뎌내기 위해 먹는 것이다.
(물론 증식효과가 있긴하지만)
이를 보았을 때,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도구인 것이다.
메달을 거머쥐기 위해, 고통을 견뎌낼 수 있도록 행복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역사적으로도 아주 잘 증명된 사실이다.
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의 나치가 수많은 유태인들을 아우슈비츠같은 수용수에 넣고 4, 5년간 정말 극악한 박해를 한다.
85%가 사망한다. 놀라운 건 나머지 15%는 그 끔찍한 상황에서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도대체 어떤 사람들이 이 끔찍한 고통속에서 버텨낸 것일까?
건강한 사람? 아니다.
놀랍게도 가장 큰 요인은 행복이었다.
나치에 의해서 수용소에 끌려들어가기 전까지 행복하게 살았던 유태인들이 대부분 살아남았다.
그 과거의 행복한 기억이 그 극악한 박해를 버티게 만들었던 것이다.
우리 인생은 늘 고난과 시련의 역경의 연속일 뿐이다.
그러니까 내년의 고통을 이겨낼 에너지는 올해 경험하는 행복에서 나오고,
2년 후의 역경을 이겨낼 그 에너지는 1년 후에 나오는 것이다.
내일을 이겨내는 것은 오늘의 행복이다.
그런 의미에서 군대가는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피트니스 센터가서 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들과 좋아하는 것 먹고 좋아하는 것 하며 가장 행복하게 지내다가는 것이다.
이게 바로 도구로서의 행복이다.
목표는 하나지만 도구는 자주써야 한다.
이건 간단하다. 자주 행복하면 되는 것이다.
행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가 훨씬 더 중요하다.
1년에 100점짜리 행복 한 번 경험하는 유기체보다, 10점짜리 행복 10번을 경험하는 유기체가 더 훨씬 강하고, 생산적이며 소통하고 그리고 협업한다. 그리고 자기 인생을 더 좋은 긍정적인 마인드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자꾸 크기에 집착을 하다보니 빈도가 떨어진다.
정말 엄청난 부나 아니면 엄청난 영광을 누리는 사람인데 오히려 비극적으로 삶이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 그런 경우이다.
우리 인생의 행복 중 하나가 바로 뭐냐, 비합리적인 신념,
가족은 늘 같이 해야 된다와 같은 이런 것을 하나씩 살짝 깨는 것이다.
우리의 삶에서 이런 작은 행복들이 필요하다.
즉 부킹 해피니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상한선의 행복을 알고있는 사람들은 좌절에서 빨리 빠져나올 수 있다.
자 생각해보라. 프로야구에서 이런 얘기를 한다.
누가 팀의 에이스 투수냐? 컨디션이 좋든 나쁘든 어쨌든 꾸역꾸역 올라가서 자기에게 맡겨진 경기를 던지고 내려오는 투수.
어떤 분이 사장을 하나? 꾸역꾸역 아무리 힘들고 힘든 일이 있어도, 괴로운 일이 있어도 어쨌든 그래도 꾸역꾸역 그래도 출근했던 사람들.
적어야 한다. 이렇게 적은 사람들은 다 위인이 되었다.
어벤져스처럼 결과적으로 결연한 의지와 놀라운 위기 극복 능력을 가지게 된다.
우리 인류가 가지고 있는 그걸 가장 많이 적어 놓은 책이 있다.
아무리 좌절을 해도 살짝 행복을 경험했는데 그 다음날 그래서 다시 일어났다.
살짝 행복했던 그 경험을 적어놓은 것이 바로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다.
그래서 이순신은 강했다.
난중일기를 읽어보면
시련을 겪을 때마다 맛있는 거 먹고, 갈대밭을 걷고 장난치고, 수다떨고.
시련의 종류와 그것을 이겨내고 다시 일어나는 중간에 무엇을 해야할지 패턴으로 이해하고 있는 그 흔적이 보인다.
150개의 역경을 이겨내는 어벤져스가 된 것이다.
우리 인생은 난중일기이다.
일기를 쓰는 사람이 강해진다라는 것의 매커니즘을 이제야 알아냈다.
수많은 시련을 종류별로 이겨낼 노하우를 쌓기 위해서 우리는 매일같이 우리의 난중일기를 적어야 한다.
<BM>
1. 성공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행복을 이용해보자.
2. 일기쓰기
나는 행복하다.
'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포먼스데이 #3. 에너지와 꾸준함이 모든 것을 이겨낸다 (0) | 2022.07.17 |
---|---|
퍼포먼스데이 #2. 하나의 문이 닫히면 필연적으로 문이 열린다 (0) | 2022.07.14 |
퍼포먼스데이 #1. 동기부여를 바라보는 관점 (0) | 2022.07.13 |
상사에게 인정받는 사람의 특징(feat. 회사에서 살아남기) (0) | 2022.04.13 |
좌절감이 든다면 - 결국 그냥 하는 사람이 가장 압도적이다 (0) | 202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