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 아파트 브랜드!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 할 수 있다/지름길
- 2021. 12. 13.
안녕하세요. 쭌크입니다.
임장을 다니다보면 수많은 아파트들을 돌아보게 되는데요
안그래도 어려운데 아파트 이름도 너무 많을 뿐더러
최근에는 아파트 브랜드도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다보니 더욱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또한 여러 건설사가 공동시공을 하며 아파트이름이 길어지기도 하여
무려 21자리 이름을 가진 아파트도 있습니다.
범지기마을9단지 세종한신휴플러스엘리트파크
모든 아파트 브랜드를 살펴볼 수는 없지만
메이저 아파트 브랜드부터 이제는 사라진 브랜드까지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합니다.
메이저 아파트
먼저 아파트는 몰라도 브랜드는 너무나도 유명한
메이저 브랜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아파트 브랜드 순위 top10에 올라온 브랜드를 살펴보면
굉장히 익술한 이름이 많네요~
브랜드 순위의 경우 시공능력평가 순위와도 다르고
집계기준에 따라 차이가 존재할테니 참고정도만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여기서 잠깐 Tip!
힐스테이트를 만드는 현대건설과 아이파크를 만드는 현대산업건설은 둘 다 같은 현대인가요?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그룹에 속한 건설업체, 현대산업건설은 HDC그룹에 속한 건설업체
현대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은 과거 같은 현대건설이었으나 현재는 분리된 각각의 회사로 '현대'라는 이름만 같다!
브랜드명으로 승부한다
아파트 브랜드명을 멋지게 만드는 것이 히트를 친 이후로 각 건설사에서는 멋진 이름의 브랜드명을 계속해서 바꿔가고 있습니다.
- 현대건설 : 현대홈타운 → 힐스테이트
- 선경건설 → SK건설 → SK 에코플랜트 : 선경 → SK뷰
- GS건설 : LG빌리지 → 자이
- 한화건설 : 꿈에그린 → 포레나
- 한신공영 : 한실휴플러스 → 한신더휴
브랜드만 활용하기엔 아쉬워는지 '펫 네임'이라고불리는 수식어를 하나씩 붙이기 시작합니다.
- 롯데건설 : 롯데캐슬 + 카이저, 프레스티지, 노블레스
- 삼성물산 : 래미안 + 퍼스티지, 팰리스
- 포스코건설 : 더샵 + 프레스티지, 퍼스트월드
이 외 다수의 펫네임이 존재
그리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2015년부터는 브랜드 내에서도 프리미엄 라인을 구축하기 시작했습니다.
- 대림산업 : e편한세상 → 아크로
- 아이에스동서 : 에일린의 뜰 → W
- 두산건설 : 두산위브 → 두산위브 더제니스
- 현대건설 : 힐스테이트 → 디에이치
- 롯데건설 : 롯데캐슬 → 르엘
- 대우건설 : 푸르지오 → 써밋
- 호반건설 : 베르디움 → 호반써밋
현대건설의 디에이치의 경우 디에이치라는 프리미엄 브랜드를 쓸 수 있는 구역을 정해두고(강남일대)
최근에는 아파트에서 나는 전용 향기까지 만들며 마치 한정판 명품을 연상시키는
건설사의 브랜딩 고급화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아직 최상급 브랜드를 추가로 만들지않은 메이저 브랜드는
래미안, 자이, 더샵, 아이파크이며
브랜드 자체의 자부심이 상당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최근 최고급 브랜딩이 성공적인 것을 토대로 최상급 브랜딩을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이지역 토박이는 나야!
많은 건설사들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위치해 있고
본래 지방에서 시작한 건설사도 서울로 위치를 옮기는 추세지만
본사를 지방에 두면서 우리에게 익숙한 브랜드가 많이 있습니다.
- 대전광역시 : 계룡건설(리슈빌), 금성백조주택(예미지)
- 광주광역시 : 중흥건설(중흥S클래스), 호반건설(베르디움), 모아주택산업(모아엘가), 제일건설(제일풍경채), 영무건설(영무예다음)
- 대구광역시 : 화성산업(화성파크드림), 태왕건설(태왕아너스), 우방건설(우방아이유쉘), 서한건설(서한이다음)
- 부산광역시 : (주)동일(동일하이빌), 동원개발(동원로얄듀크), 협성건설(협성휴포레), 삼정건설(삼정그린코아)
- 청주 : 대원건설(칸다빌), 원건설(힐데스하임)
- 원주 : 요진건설(요진와이시티)
지방에 거점을 두고 있는 건설사의 경우
지역 정책에 따라 혜택을 받기도 하고 해당 지역의 거주민들의 선호도를 잘 파악하여
만족도 높은 아파트를 제공하면서도 메이저 브랜드 못지않은 인기를 얻기도 합니다.
나를 아껴줘. 공공브랜드
우리가 흔히 주공이라고 공공브랜드도 다양한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데요,
LH의 경우 정말 많은 브랜드 변화가 있었고 각 지역마다 특색있는 브랜드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한국토지주택공사(LH) : 주공(~2009), 주공그린빌(2000~2004), 뜨란채(2004~2006), 휴먼시아(2006~2009), LH(2009~), 천년나무(2014~), 안단테(2020~)
- 공무원연금공단 : 상록
- 서울주택도시공사 : SH빌
- 인천도시공사 : 웰카운티
- 대구도시공사 : 청아람
- 광주도시공사 : 다사로움, 빛여울채
- 대전도시공사 : 트리풀시티
- 경기주택도시공사 : 자연&
- 강원도개발공사 : 산수빌
- 전북개발공사 : 에코르, 지안리즈
지나간 세월속에, 사라진 브랜드
이제는 신축아파트로 볼 수 없는 사라진 브랜드도 많이 있는데요~
많은 브랜드 중 우리에게 친숙한 브랜드도 많습니다.
- 광명주택 : 광명메이루즈
- 임광토건 : 그대가
- 대동주택 : 대동다숲
- 삼성중공업 : 삼성 쉐르빌
- 신도종합건설 : 신도브래뉴
- 엘드건설 : 수목토
- 영조주택 : 영조퀸덤, 아름다운나날
이지역 토박이는 나야!
아파트 브랜드에 있어 저마다 선호 차이는 존재하겠지만
랜드마크 자리를 차지하고 있거나
지역을 점거(?)하다시피 많이 들어선 브랜드들이 있습니다.
지역 주민의 경우 아무래도 친숙하고 신뢰가 있는 브랜드를 보다 선호할 가능성이 크겠네요!
- 부산, 전주 : HDC현대산업 아이파크
- 광주, 대구 :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청북 청주 : 신영건설 지웰
- 인천 송도 : 포스코 더샵
투자에서 브랜드는 얼마나 중요할까?
지금까지 소개한 브랜드 외에도 정말 많은 건설업체와 많은 아파트 브랜드가 있습니다.
아파트 브랜드 선호도는 대중의 심리가 반영된 부분인 만큼
실거주는 물론 투자관점에서도 꽤나 중요하게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일 것 같습니다.
브랜드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매우크다면
투자의사결정을 할 때 한 번 더 고민해 볼 수도 있을 겁니다.
반면 실거주를 생각하며 입지와 가격을 따지지 않고
브랜드에 꽂혀 투자를 한다면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할 수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투자에서 절대적 기준은 될 수 없지만 사람들의 심리를 생각해볼 수 있는
아파트 브랜드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출처 : 월급쟁이부자들(https://cafe.naver.com/wecando7/3169412)
'할 수 있다 > 지름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럼] 매물보고 '돌아서면 기억이 안나는' 당신에게 (0) | 2021.12.16 |
---|---|
[컬럼] 단독명의 VS 공동명의, 양도소득세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요? (0) | 2021.12.14 |
[컬럼] 그러니까 안살꺼같단 소리를 듣지 ^^ (부동산초보 티 안내는 법★) (0) | 2021.12.12 |
[컬럼] 수도권 재건축, 안된다고? 천만에 (feat. X소리) (0) | 2021.12.12 |
[컬럼] 1500만원으로 1기 신도시에 투자하는 방법 (0) | 2021.12.11 |